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예술인의 거리조성 연구용역

발행일2020-08     발행처 고양시 바로가기

예술인의 거리조성 연구용역

목차

 

Ⅰ 과업의 개요 1

 1. 과업의 배경과 목적 1

  가. 과업의 배경 1

  나. 과업의 목적 1

  다. 과업의 기대효과 1

 2. 과업의 범위와 수행방법 2

  가. 과업의 범위 2

  나. 과업의 수행 방법 4

 

Ⅱ 고양시 예술인의 거리조성 생태환경 분석 7

 1.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생태환경 7

  가. 문화예술생태환경 3요소 7

  나. 예술인의 거리구성 요소 7

 2. 문화예술 자원 현황 및 분석 9

  가. 물적자원 9

  나. 인적자원 17

  다. 지원정책 19

  라. 시설 및 운영 프로그램 20

 3. 예술인의 거리 조성에 관한 시민의견 조사 23

  가. 개요 및 취지 23

  나. 문화예술 전공 대학생 간담회 23

  다. 전문가 및 관계자 간담회 26

  라. 설문조사 29

 

Ⅲ 문화예술의 거리조성 국내외 사례분석 47

 1. 국내 사례 47

  가. 문래예술공장 47

  나. 광주예술의 거리 50

  다. 창원창동예술촌 52

  라. 군산시민예술촌 54

  마. 전주동문예술거리 56

  바. 윤동주 문학관 56

  사. 황새둥지(커뮤니티형 문화예술작업장) 58

 2. 해외사례 60

  가. Assemble 프로젝트 60

  나. Shreveport Common-An Uncommon Cultural District(LA) 62

  다. Gordon Square Arts District(Cleveland, OH) 63

  라. Cumberland Arts & Entertainment District(Maryland) 64

  마. 북경 따산즈(大山子) 798예술구 64

  바. 일본 가나자와(金澤市) 시민예술촌 65

 3. 국내외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사례 66

  가. 국내 주요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사례 66

  나. 해외 주요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사례 75

 

Ⅳ 고양시 예술인의 거리조성 대상후보지 분석 81

 1. 분석설계 81

  가. 분석 내용 및 항목 선정 81

  나. 예술인 거리 대상지 선정 분석 내용 81

  다. 예술인 거리 조성 후보 대상지 82

  라. 대상지 분석 항목 선정 82

 2. 지역민의 문화예술 수용실태 조사 83

  가. 지역민의 의견수렴 83

  나. 지역민들의 문화예술 수용실태 조사 및 결과 86

 3. 예술인의 거리 대상지 분석 및 활용방안 89

  가. 조사 개요 및 내용 89

  나. 삼송지구 90

  다. 화전·덕은지구 97

 

Ⅴ 고양시 예술인의 거리조성 기본구상(안) 105

 1. 고양시 문화예술 창작플랫폼 조성 105

  가. 예술인의 거리 조성 목표 및 전략 105

  나. 예술인의 거리 조성 컨셉 및 프로세스 106

 2. 고양시 예술창작 플랫폼 대상후보지 107

  가. 예술인의 거리 조성 대상후보지 107

  나. 대상후보지 삼송지구 109

  다. 대상후보지 화전·덕은지구 113

 3. 고양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책 도입(안) 119

  가. 기본전략 119

  나. 도입(안) 119

 

참고문헌 121

부록 1. 설문지 서식 : 고양시민 대상(일반인 및 예술인) 127

부록 2. 설문지 서식 : 삼송지구, 화전·덕은지구 거주자 대상 133

고양시,예술인의 거리, 거리조성,연구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