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신남방 지역(아세안 10개국, 인도)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발행일2020-10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바로가기

신남방 지역(아세안 10개국, 인도)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3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방법 6

  1. 선행연구 분석 6

  2. 전문가 의견조사 8

  3. 연구추진체계 9

 

제2장 신남방정책 추진 환경 11

 제1절 신남방정책의 방향과 특징 13

  1. 신남방정책의 기본 방향 13

  2. 신남방정책의 3대 비전과 목표 및 16대 과제 15

  3. 신남방 지역과의 교류 추진 체계 및 방향성 16

 제2절 한국의 국제문화교류 정책 추세 및 문제점 20

  1. 한국의 국제문화교류 정책 현황 및 개요 20

  2. 한국의 국제문화교류 특징과 방향성 21

  3. 부처 및 기관별 국제문화교류 정책 현황 개요 23

  4. 국제문화교류(정책)의 추세와 한계점 및 개선방안 31

 제3절 신남방 문화교류의 현황 및 방향성 35

  1. 신남방 문화교류 정책현황 35

  2. 주요사업 성과 'ODA' 사업 중심 37

  3. 기존 신남방 정책의 한계 및 방향성 42

 

제3장 신남방지역 문화교류 환경 및 현황 분석 : 국가별 분석 종합 45

 제1절 신남방 지역 국가별 문화교류 환경 분석 : 한국과의 교역액 기준 국가군 분류 47

  1. 상위 교역액 국가 문화교류 환경 분석 :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47

  2. 중위 교역액 국가 문화교류 환경 분석 :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60

  3. 하위 교역액 국가 문화교류 환경 분석 : 라오스, 브루나이, 캄보디아, 미얀마 77

 제2절 기관 및 단체의 문화교류 현황 90

  1. 공공기관의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현황 90

  2. 민간기관의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현황 95

 제3절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의 성과 및 한계 100

  1.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사업 성과 100

  2.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정책 및 효과의 한계 102

 

제4장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수요분석 105

 제1절 수요조사 개요 107

  1. 수요조사의 목적과 방향 107

  2. 수요조사의 대상과 방법 108

 제2절 설문조서 결과 111

  1. 동남아 지역 및 인도 지역 관련 정부정책에 대한 견해 111

  2.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정책 성과 113

  3.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정책 운영방향 및 개선사항 119

  4. 6가지 추진전략별 우선 추진 세부과제 121

  5. 향후 정책 방향 127

 제3절 수요조사 결과 분석 및 시사점 도출 130

  1. 동남아 지역 및 인도 지역 관련 정부정책에 대한 견해 130

  2. 신남방 지역 교류정책의 성과 131

  3.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정책 운영방향 및 개선사항 132

  4. 6개 추진전략별 우선추진 세부과제 133

  5. 향후 신남방 문화교류 정책 방향 135

 

제5장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정책의 비전과 전략 및 추진과제(안) 139

 제1절 신남방 지역 문화교류 비전 수립의 방향과 전략 141

  1. 비전 및 추진과제 개요 141

  2. 전략 및 방향 142

 제2절 추진과제 145

  1. 동반자 관계 및 파트너십 강화 : 인식제고 및 협력강화 146

  2. 문화콘텐츠 및 자원교류 : 문화자원 활용으로 문화성장 추동 151

  3. 인적자원 교류 : 예술·문화 전문가 및 지역 공동체 간 교류 159

  4. 프로그램 공유 및 교류 : 프로그램 제작 노하우 및 지식 교류 확대 166

  5. 제도 및 인프라 구축 협력 : 문화교류 기반 및 여건 조성 사업 173

  6. ODA 사업 활성화 : 국제문화교류 차원의 상생적 개발원조 사업 181

 

제6장 신남방 지역 간 문화교류 및 협력활성화 정책과제 추진 방안 191

 제1절 문화교류 수요파악과 입체적인 사업계획 수립 194

  1. 정확한 교류지역 수요 파악 194

  2. 일방적/일회적 접근에서 입체적/선순환적 접근으로 교류 195

     패러다임 변화 195

 제2절 전문가 네트워킹 196

  1. 문화관련 전문분야 정립 및 전문인력 관리 196

  2. 관련영역 확장 및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참여 확대 198

  3. 분야별 전문가 협업시스템 구축 198

 제3절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200

  1. 인력양성 전략 수립 200

  2. 실무역량 제고 201

 제4절 협력시스템(채널) 구축 202

  1. 협력기반의 공통점 모색 202

  2.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플랫폼 구축 202

 제5절 다층적 거버넌스 구축 204

  1. 다양한 행위자와의 거버넌스(협치)체제를 통한 컨센서스 형성 204

  2. 국가 간, 기업 간 거버넌스 결성으로 정책협력 및 문화산업 활성화 205

  3.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 민간영역과의 네트워킹 확대 208

  4. 거버넌스 구축과 동시에 효율적인 인력(조직)구조 개편 병행 실시 209

 제6절 성과평가 체계 구축 211

  1. 국제문화교류사업 성과지표 체계 재구성 211 

  2. 협력기관 전체가 동의할 수 있는 개방형 표준화 성과측정 도구 개발 212

 

제7장 결론 213

 

참고문헌 219

ABSTRACT 229

부록 233

한국문화관광연구원,신남방지역,문화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