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방송·영상콘텐츠 세제지원 확대방안 연구

발행일2020-10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바로가기

방송·영상콘텐츠 세제지원 확대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7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0

  1. 연구 범위 10

  2. 연구방법 11

 

제2장 방송·영상콘텐츠 산업지형의 변화와 세제지원의 당위성 15

 제1절 방송·영상콘텐츠 산업지형의 변화 17

  1. 최근 영상콘텐츠 산업의 지각변동 17

  2. 국내 산업 생태계 재편에 따른 위기와 기회 22

 제2절 방송·영상콘텐츠의 영향력과 세제지원의 필요성 28

  1. 문화적 파급력과 경제적 효과 28

  2. 세제지원 정책의 당위성 31

 

제3장 방송·영상콘텐츠 관련 세제지원 제도 현황 및 과제 39

 제1절 방송·영상콘텐츠 분야 세제지원 제도 현황 41

  1. 현황 및 특징 41

  2. 선행연구 및 최근 조세제도 변화 흐름 51

 제2절 산업 현장에서 본 세제지원 관련 쟁점 및 과제 56

  1. 관계자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요 56

  2. 현행 세제지원 제도 관련 쟁점 및 과제 57

 제3절 세제지원 현황 및 정책수요 분석 67

  1. 조사 개요 67

  2. 조사 결과 71

 제4절 소결: 시사점 및 과제 101

 

제4장 해외 주요국 방송·영상콘텐츠 분야 세제지원 정책 분석 105

 제1절 해외 사례 분석 개요 107

  1. 해외 주요국 사례 분석의 목적 107

  2. 분석 대상 및 방법 107

 제2절 주요 국가별 방송·영상콘텐츠 분야 세제지원 현황 분석 109

  1. 미국 109

  2. 호주 120

  3. 캐나다 128

  4. 영국 134

  5. 프랑스 143

  6. 헝가리 153

  7. 중국 159

 제3절 소결: 해외 세제지원 정책의 시사점 167

 

제5장 방송·영상콘텐츠 분야 세제지원 확대방안 및 기대효과 171

 제1절 영상콘텐츠 제작비용 세액공제 확대방안 173

  1. 현행 제작비 세액공제 적용대상의 확대 173

  2. 향후 제작비 세액공제 확대 및 개편방안 181

 제2절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적 세제지원 확대 및 개편방안 186

  1. 투자자 세제지원 확대 186

  2. 로케이션에 대한 세제지원 188

  3. 수출 및 국제공동제작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190

  4. 부가가치세 관련 세제지원 192

 제3절 세제지원 확대에 따른 경제적 효과 194

  1. 분석 범위와 방법론 194

  2.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201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21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219

 제2절 정책 제언 및 결론 226

 

참고문헌 231

ABSTRACT 237

부록 23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방송영상, 세제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