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장애인 문화예술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발행일2020-10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바로가기

장애인 문화예술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목차

 

제1장 머리말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1. 연구 내용 6

  2. 연구 범위 7

  3. 연구 방법 7

 제3절 용어 정리 및 선행연구 검토 9

  1. 용어 정리 및 장애인 인구 현황 9

  2. 선행연구 검토 11

 

제2장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의 의미와 실태 15

 제1절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의 의미 17

  1. 장애인 (정책) 관점 17

  2. 문화예술 (정책) 관점 20

  3. 비장애인의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인식 25

  4. 외국의 장애인 예술 담론 및 지원정책 29

 제2절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 분석 55

  1. 장애 예술인(단체) 활동 현황 55

  2.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 현황 67

  3. 장애인의 문화예술교육 현황 85

 제3절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의 특징과 시사점 106

  1.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의 의미와 특징 106

  2.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의 특징 110

  3. 장애인 예술정책 방향 설정의 시사점 122

 

제3장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및 사업 분석 125

 제1절 장애인 문화예술정책의 전개 127

  1. 장애인 정책과 문화예술 127

  2. 문화예술정책과 장애인 133

 제2절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사업 분석 140

  1. 분석기준 설정 140

  2. 문화체육관광부 사업 141

   2-1.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사업 143

   2-2. 장애인복지관 예술강사 지원사업 174

  3. 보건복지부 사업 및 복지시설 서비스 179

 제3절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사업의 특징과 시사점 184

  1. 정책과 사업의 특징 184

  2.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수립의 시사점 193

 

제4장 장애인 문화예술정책의 목표와 추진과제 199

 제1절 장애인 문화예술정책의 비전과 목표 201

  1. 비전과 목표 설정 201

  2. 추진전략 203

  3. 전략과제 206

 제2절 장애 예술인(단체)의 창작지원 다원화 208

  1. 장애 예술인 일자리 창출 208

  2. 장애인 예술시장 및 마케팅 지원 213

  3. 장애 예술인의 문화예술 공간 조성 215

   3-1. 장애 예술인 전용(대표) 문화공간 건립 215

   3-2. 장애 예술인의 문화시설 및 예술활동 접근성 제고 217

   3-3. 장애 예술인 작업공간 조성 220

  4. 장애 예술인(단체) 전문성 심화 221

   4-1. 장애 예술인 전문공연단체 육성 222

   4-2. 장애 예술인 레지던시 프로그램 224

   4-3. 장애 예술인(단체)과 국·공립기관(단체) 협업 226

  5. 장애 예술인 교육체계 구축 228

   5-1. 장애 아동·청소년 전문교육 229

   5-2. 예술전공 장애 대학생 지원 232

   5-3. 장애 예술인 역량 강화(재교육) 프로그램 234

  6. 장애인예술계의 주변부 지원 확대 236

   6-1. 청년·지역·단체 비소속 장애 예술인 지원 236

   6-2. 풀뿌리·지역 장애인 예술단체 지원 239

  7. 세부사업: 요약 및 관계자 의견 242

 제3절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및 교육 활성화 248

  1. 장애인 문화예술바우처 도입 및 확대 248

  2.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자 양성 및 전문성 제고 251

  3. 참여형 장애인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확대 254

   3-1. 장애인 문화예술 동호회 활성화 254

   3-2. 체험형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255

  4.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재구조화 257

   4-1. 특수학교(급)-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개선 257

   4-2. 찾아가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확대·개선 260

  5. 장애인의 문화시설 접근성 제고: 장애 친화적 문화시설 조성 262

  6. 세부사업: 요약 및 관계자 의견 269

 제4절 장애인 문화예술 발전 기반 구축 274

  1.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고도화 274

   1-1.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담당 부서 및 기관의 역할 정립 274

   1-2.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단위)사업 연계성 및 공정성 강화 277

   1-3. 장애인 문화예술정책과 장애인 복지정책의 연계 280

  2. 장애인 문화예술정책과 과학기술(4차 산업혁명) 연계 282

  3. 정보서비스 체계 구축 및 확대 286

   3-1. 장애인 문화예술정보시스템 구축 286

   3-2. 장애인 문화예술 관련 도서 발간 289

  4. 장애인 문화예술정책의 지역화 및 세계화 291

   4-1. 지역 간 장애인 예술 격차 해소: 장애인 문화예술 지역(거점)센터 운영 291

   4-2. 장애인 예술의 국제교류 및 남북교류 활성화 294

  5. 장애인 예술 인식개선 사업 활성화 297

  6. 세부사업: 요약 및 관계자 의견 299

 

제5장 맺음말 305

 제1절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추진과제 요약 307

  1. 단계별 세부과제 내용 307

  2. 세부과제 진행과 고려사항 314

 제2절 연구의 의미와 향후 연구과제 316

 

참고문헌 319

ABSTRACT / 3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장애인, 문화예술, 발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