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예술향유정책 분석 및 방향 연구

발행일2020-10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바로가기

예술향유정책 분석 및 방향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9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1

  1. 연구 범위 11

  2. 연구 방법 및 연구 체계 16

 

제2장 예술향유 이론적 논의 및 정책환경의 변화 21

 제1절 예술향유의 환경변화 및 최근 정책담론 23

  1. 예술계를 둘러 싼 환경변화 23

  2. ‘복합적·능동적 프로세스’로서의 예술향유 28

  3. ‘예술향유’ 영향요인 및 속성에 관한 학문적 관심 43

  4. 최근 예술향유 정책담론 58

 제2절 예술향유 정책 분석 및 논의를 위한 시사점 69

  1. ‘예술’과 ‘향유’에 대한 새로운 관점 69

  2. 예술향유 이해를 위한 프레임워크(안) 74

 

제3장 시민의 예술향유 인식 및 예술향유활동 분석 79

 제1절 예술향유 실태와 특징: 선행조사 검토 81

  1. 실태조사와 예술향유 현황 81

  2.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분석: 예술향유 유형화 시도 98

  3. 실태조사 현황 및 향유유형 분석의 시사점 119

 제2절 시민의 예술향유에 관한 인식 및 활동 양태 123

  1. 시민 예술향유 인식 및 예술향유활동 설문조사 123

  2. 시민 예술향유 인식 및 예술향유활동 FGI 162

  3. 예술향유 인식 및 양태 분석의 종합 시사점 174

 

제4장 예술향유정책 전개과정 및 정책지원 구조 191

 제1절 예술향유정책의 전개과정과 특징 193

  1. 예술향유정책의 전개과정 193

  2. 예술향유정책의 특성 및 시사점 212

 제2절 예산을 통해서 본 예술향유정책 지원구조 220

  1. 문화체육관광부 예산구조 220

  2. 예술향유지원 예산구성 222

 

제5장 예술향유정책 사업 분석 235

 제1절 주요 지원사업 현황 237

  1. 예산항목별 예술향유 지원사업 237

  2. 사업목적과 내용에 따른 (유형) 분석 288

 제2절 예술향유 지원사업 특성 및 시사점 300

  1. 시혜적인 공급형 사업 진행과 수동적 대상으로 인식되는 향유자 300

  2. 향유를 표방하는 사업 목적의 주객전도 경향성 302

  3. 복잡한 예산구조 및 유사사업 진행 305

  4. 중앙과 지역의 역할 분담의 모호성 306

  5. 사회 변화 반영 및 향유 정책 대상의 다변화 시도 307

  6. 일상성 vs. 특수성, 무료 vs. 유료의 딜레마 309

 

제6장 예술향유정책 방향 311

 제1절 예술향유정책 가치정향 명확화 313

  1. 예술향유 개념 정립을 위한 기본 원칙 313

  2. 예술향유정책 설정의 기본방향 321

 제2절 예술향유정책 방향과 과제 324

  1. 보편적 국민 예술향유 진작을 위한 정책 환경 조성 324

  2. 향유수요 변화 및 복합성 반영한 다원적 정책접근 개발 332

  3. 창작-향유의 선순환 구조 형성 338

  4. 예술향유 지원을 위한 추진 체계 재정비 346

 

참고문헌 353

ABSTRACT 36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향유정책, 분석,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