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공공 공연장 활성화 영향요인 분석

발행일2024-02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바로가기

공공 공연장 활성화 영향요인 분석

□ 연구배경

ㅇ 공연시장에 있어 공연시설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 소비(관람)가 이루어지는 불 가분의 관계임과 동시에 상품을 이루는 본질적 요소 중 하나임

- 공연예술의 상품은 예술작품이라는 핵심적 제공물과 그것을 포함하는 시설, 무대 또는 공연장이라는 부가적 제공물이 합쳐진 종합적 서비스로 볼 수 있음(이 유재, 이준엽, 라선아. 1999)

- 따라서 공연시장에 있어 공연장은 부가적인 요소가 아닌 시장을 구성하는 상품 그 자체로서의 중요성을 지님

ㅇ 공연장은 공연상품을 매개하는 문화기반시설로서, 다양한 설립주체에 의해 건립되어 공연시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음

- 문화체육관광부의 「2022년 공연예술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968개 공연시설에서 1,281개의 공연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12,180명이 공연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ㅇ 그러나, 이러한 물적 기반 구축에도 지역 간 공연시장 불균형은 지속되고 있음

- 지역별 공연시장의 성장성을 분석한 김형종 외(2022)의 연구에서는 지역 공연 시장의 성장이 과거에 비해 둔화되었고, 코로나-19 이후 지역 간 공연상품 소비 지출의 불평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냈음

ㅇ 따라서 공연시설 운영관점에서 기여될 수 있는 정책·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 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

- 공연법 제4조에 따라 공연사업자가 공연장 예매전산시스템을 통해 실제 판매 발권한 티켓예매데이터 즉, 제도적 전수 자료를 기반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할 4 수 있는 기반 마련됨

- 기존 공연시설 관점의 학술연구의 경우 행정보고 된 자료나 표본자료 중심으로 운영의 효율성을 평가하거나 현황진단 및 의견수렴을 통해 제도적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하는 관점의 연구가 주를 이뤄옴

 

□ 연구목적

ㅇ 국내 공연시설의 현황과 규모, 제도와 자료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정책의사결정 과 후속연구에 참조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필요

-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rea Performing arts box office Information System, 이하 KOPIS) 자료를 중심으로 국내 공연시설의 규모와 유형별 비중,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공연시설의 건립·운영, 재정적 지원 등 공연시설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적 의사결정에 참조될 수 있는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함

- 그 밖에 국내 공연장 운영 관련 제도와 데이터를 파악하여 후속 연구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ㅇ 공연장 활성화의 영향요인을 실증 데이터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정책적·실무적 시 사점 제공

- ‘공연장 활성화’는 첫째. ‘해당 공연시설에 공연프로그램이 활발히 개최되어 충 분한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둘째. ‘해당 공연시설이 위치한 지역특성 및 배경수요를 감안한 양질의 공연 프로그램이 기획, 유치되고 적절한 홍보가 이루 어져 공연 소비가 활성화되고 있는지’와 같이 두 가지 차원으로 접근할 수 있음

- 특히 지역 간 공연상품 소비지출의 불평등을 완화함에 있어 각 지역 공공 공연 장(문예회관 등) 역할이 중요하며 이의 운영에 참조될 수 있는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위에 기술한 두 가지 차원의 활성화 성과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전문인력 활용 등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공연장 활성화 방 안이 실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함

KCTI,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공공 공연장 활성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