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지속가능한 문화매력국가를 위한 국가문화지수 개발 연구

발행일2023-12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바로가기

지속가능한 문화매력국가를 위한 국가문화지수 개발 연구

□ 연구배경

ㅇ 한국문화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일류 문화매력국가로의 도약 선포

-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 기준 192개국 중 13위의 경제 강국이 되었으나, 행 복지수는 146개국 중 59위, 삶의 균형 및 조화 관련 지수는 89위로 주관적 안녕감 은 낮은 편(IMF, 2022; SDSN, 2022) 

- 국제적으로 한국의 문화적 위상은 과거와 비교해 크게 개선된 것으로 추정됨 

- 2010년대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소녀시대, 방탄소년단(BTS), 블랙핑 크,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 드라마 <오징어게임>과 <더 글로리>, 클래식 분야의 조성진, 임윤찬, 김태한, 문학 분야 한강 <채식주의자>, 이수지의 <여름 이 온다>, 무용 분야의 강미선, 강수진, 김기민 등 K-Pop과 K-드라마뿐 아니 라 전 문화예술 분야에 걸쳐 한국 콘텐츠에 대한 국제적 관심은 계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

ㅇ한국의 종합적 문화 잠재력을 진단할 수 있는 국제 지표의 필요성

- 국제적으로 한국문화의 위상을 새롭게 보여 주는 다양한 기록들은 한국의 문화적 수월성과 잠재력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나, 국제사회에서 한국문화의 위상을 종합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보여 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 현재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국가 비교 지표로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 Forum)의 글로벌경쟁력지수(GCI,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나 IMD의 세계 경쟁력 지표(World Competitiveness index), Anholt-Ipsos 국가브랜드지수(Nation Brands Index), Portland의 Soft Power Index가 있 으나 여기에는 문화 관련 지표가 거의 없거나, 매우 한정된 지표로서만 포함되 어 있어 종합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문화적 위상을 진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 한편 문화 분야의 국제 지표로는 UNESCO 문화발전 지표(CDIS, Culture for Development Indicators), UNESCO 문화 2030 지표(Culture 2030 Indicators), EU의 문화 민주주의 지표(IFCD, Indicator Framework on Culture and Democracy), EU의 Cultural and Creative Cities Monitor 등이 있으나 각 지 표들이 목표하는 바가 다르고, 각 국가의 통계생산체계의 차이 등으로 인해 주요 국 문화 부문의 국제 비교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국제적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적 위상과 역량을 진단하기는 어려움

 

□ 연구목적

ㅇ 국가문화지수의 개발과 시범 적용 

- 본 연구는 주요 국가들의 문화적 잠재력을 진단하고 비교할 수 있는 국가문화지수 (Global Culture Index)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일국의 문화적 차원을 하나의 숫자(지수)로 가늠하여 그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영역이 가진 고유한 가치와 특성을 간과할 수 있고, 문 화상대주의 관점에 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있음 

- 그러나 세계 속에서 한국이 갖는 문화적 위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나 인식 없이 무조건 기존 선진국들의 선례를 답습하거나, 혹은 세계적인 흐름과 동떨어진 우 물 안 개구리와 같이 편협한 길을 걷는 것 또한 경계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점들을 유념하여, 본 연구는 일국의 문화적 역량과 수준, 잠재력을 종합 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이 가진 강점과 약점 을 진단하여 향후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길잡이로서의 문화지 표체계(Indicator framework)와 이들을 종합한 국가문화지수(Global Culture Index)’를 개발하고자 함 

- 또한 국가문화지수를 개발함에 있어 외부적 관점에만 치중할 경우 지나치게 가 시적 측면만 부각하게 되어 문화의 중요한 토대가 되는 내부적 요소들을 간과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외부적 관점과 내부적 관점을 균형적으로 고려하도록 함 

- 아울러 현시점에서 구득 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OECD 38개국에 대해 국가문 화지수를 시범 적용하여 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함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CTI, 문화매력국가, 국가문화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