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역 공연예술단체 육성의 필요성 및 지원사업의 분석
제3장 지역 공연예술단체 육성을 위한 쟁점 분석
제4장 지역 공연예술단체 육성 사례 분석
제5장 지역 공연예술단체 육성 지원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
□ 연구배경
ㅇ 우리사회 전반에 걸친 지역 불균형 성장 문제는 문화예술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 다. 지역의 문화예술 분야는 인구구조의 변화, 경제력의 하락 등으로 인해 공급, 유통, 소비 등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매우 저조한 상황을 겪고 있으며, 인프라 구축이나 창작 활동에도 서울과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2000년대 이후 지역분권이 본격화 되면서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지역문화재단이 설립되는 등 지역 문화예술 분야의 발전을 위한 많은 제도적, 정책적 기반이 구축되었으나, 아직도 지역 간 문화격차는 그 간극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우리 공연예술 분야는 꾸준한 공공지원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성숙기에 접 어들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서울과 지역 간의 격차는 매우 큰 상황이다. 그 동안 공연예술 분야의 지역격차를 줄이고자 다양한 정책지원사업이 진행되었으나, 아직 그 격 차를 줄이기에 역부족이다. ?2023 공연예술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공연예술단체의 42.0%가 서울에 분포되어 있으며, 경기가 16.5%, 부산이 5.8%, 그 외 광역도·시에는 전체의 5% 이하가 분포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역의 민간 공연예술 분야는 매우 그 기반이 열악한 상황이며, 최근 지역인구소멸, 청년예술인의 지역이탈 등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고 있다. 많은 공연예술인이 지역을 이탈하면서 지역의 공연예술 창작력을 지속적 으로 저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에서 선보이는 공연예술의 횟수도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이는 지역 주민의 공연예술에 대한 경험도를 줄이고 관심을 감소시켜, 지역 공연예술 분야 기반을 더욱 약화시키고 있다. 지역 공연예술 분야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공연예술 창작, 유통, 소비의 대부분을 담 당하는 주역인 지역 공연예술단체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공연예술단체는 공연의 창 작, 실연, 유통을 전부 아우르며 지역 공연예술의 가치사슬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이다. 노동집약적인 성격을 가진 공연예술의 특성상 전통적으로 공연예술 분야는 집 단화되어 작품을 생산, 실연, 공급하는데, 이러한 공연예술단체의 활동이 둔화되는 것은 지역 공연예술 분야의 전반에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역 공연예술 분야의 전반적인 활성화와 서울과 지역 간의 공연예술 분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공연예술단체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 할 방안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우리 지역 공연예술단체들은 전반적으로 창작활동 이 많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어떤 내외부 영향요인이 작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공연예술단체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요인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 어떠한 정책적 지원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지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 연구목적
ㅇ 이에 본 연구는 우리 공연예술 분야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지역 공연예술 분야, 특 히 지역 공연예술단체의 활동을 활성화 할 방안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지역 공연예술단체를 둘러싼 환경을 파악하고, 지역 공연예술단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단체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의 지역에서 공연예술단체를 우수하게 운영하는 사례를 조사해 이들은 그러한 어려움을 어떻게 타개해왔는지 조사하고, 해외의 경우 지역 공연예술단체의 활성화를 위 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지역 공연예 술 분야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 공연예술단체를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 그 정책방향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공연예술단체 뿐만 아니라, 지역 공연예술 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의미있는 정책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또한 우리 지역 공연예술단체 육성에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국내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 기획 및 운영을 위한 참 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공연예술단체 육성을 위한 공공 지원 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 공연예술단체의 창제작 역량 및 자생력을 강화하고, 지역과 수도권 간의 문화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