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활동 활성화 방안

발행일2024-10-23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바로가기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활동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머리말

제2장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정책 및 현황 분석

제3장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활동에 대한 전문가 의견 분석

제4장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활동 지원 정책의 과제

제5장 맺음말

 

 

□ 연구배경
ㅇ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2020) 제정 이후, 그리고 현 정부 들 어 장애인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면서 관련 정책이 제도화되고 있다. ?제1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기본계획? 발표(2022), 공공기관의 장애예술인 창작물 우선구매 제도 실시(2023), 문화체육관광부 내 장애인문화예술과 신설(2023), 국공립 문화시설의 장애예술인 공연?전시 정기적 실시(2024)가 대표 사례다. 법률 개정에 따른 우선구매 제도와 정기적 공연?전시는 장애인 문화예술 정책이 신속 하고 압축적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통 예술 정책이 창작(자) 지원 → 향유(자) 지원 → 유통 지원의 순서로 진행됐는데, 두 가지 제도는 유통 활성화를 통한 창작 지원 형태로 볼 수 있는데, 장애인 문화예술을 빠른 시일 내에 발전시키려는 의도로 읽을 수 있다. 이 같은 정책 흐름을 장애인 문화예술 인력에 대입해 보면 매개활동 참여 인력의 양성과 활동 지원 정책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장애예술인 지원 정책뿐 아니라 창작자와 향유자를 매개하는 인력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일이 그것이다.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예술인지원법)이란 명칭에서 보듯이 현재 장애인 문화예술 정책은 장애예술인 지원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런데 장애 인 문화예술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창작자인 예술인뿐 아니라 매 개인력의 활동이 활성화돼야 한다. 매개인력 정책은 2022년 발표된 ?제1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기본계획?(이하 1차 기본계획)과 ?제6차 장애인 정책 종합계획?(이 하 6차 종합계획)에서 구체적 사업으로 제시된 바 있다. 1차 기본계획의 ‘장애예술인 예 술 활동 지원 전문인력 양성’사업이 6차 종합계획의 ‘장애예술인 및 장애예술 매개자 양 성 교육 체계 구축’으로 연결된다. 계획은 그렇지만 아직 매개인력 정책(사업)은 활성화 돼 있지 않다.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하 장문원)에서 ‘이:음 예술창작 아카데미’ 내 매개자 과정을 개설?운영하는데 참여 의향자를 모두 받지 못하고 소규모로 이뤄진다. 장애인 문화예술 정책이 창작자 지원을 넘어 독자적인 장애인 문화예술(생태)계를 구 성하는 데까지 나아가려면 문화예술(생태)계의 구성원인 매개인력의 개체 수 증가, 전문 성 향상, 그리고 일자리 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정책 사업과 연 구가 구체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 연구목적
ㅇ 연구 목적은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양성과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매개인 력 지원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현재 매개활동에 참여 하는 인력의 전문성 제고, 현재와 미래의 매개인력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사업을 개 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장애인매개인력, 문화예술매개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