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예술비즈니스와 예술기업, 그리고 예술의 가치
제3장 예술계 가치사슬 구조 속 예술기업
제4장 예술의 가치에 기반한 예술기업 활동의 특징과 의미
제5장 결론
□ 연구배경
ㅇ 예술소비의 확대와 인식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예술의 가치 와 영향은 더 이상 ‘순수 창작물’이 주는 정서적, 전통적, 신화적 영향으로만 해석 되지 않고 있음
ㅇ 유네스코는 예술환경의 변화(디지털 매체의 변화와 매체들의 다양한 결합)에 맞는 새로운 시대형의 예술활동의 이해를 강조하고 있음(UNESCO, 2022)
ㅇ 특히 예술과 돈의 관계에 대한 해석이 변화하면서 ‘예술을 돈으로 보는 관점’과 ‘예술vs돈’의 관점이 충돌하던 기존의 인식이 융합되어 예술가에게 ‘기업가정신’ 을 강조하는 요구하는 상황까지 이어지고 있음
- 예술적 역량은 창작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요소라면, 예술적 작품의 응용, 공유, 유통은 기업가 정신의 역량으로 볼 수 있고, 예술가들의 창의적 관행은 장인적 기업가로서의 정체성을 평생에 걸쳐 구축해온 것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함
ㅇ 이런 변화된 인식 속에서 창조산업에 대한 높아진 정책적 관심은 예술산업에 대한 논의로까지 이어져, 예술정책의 주요 분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
ㅇ 하지만 예술산업은 아직까지 타 산업군에 비하여 그 영역과 분야가 모호하게 이해 되고 있음
- 예술산업은 예술품 또는 예술과 관련된 유무형의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다양 한 예술기업의 집합체로 볼 수 있고, 그들을 통해 발생되는 경제 분류가 산업 단위로 편성될 수 있어야 함
- 현재까지 국내 정책적 논의는 문화콘텐츠 산업과 분리된 (순수)예술산업에 대한 정책적 분류화가 추진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미술 분야와 공연 분야의 경우 유 통과 매개를 전제로 수익시장이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이에 집중하여 예술산업 을 별도의 산업으로서 의미를 찾고 있음
- 이러한 정책적 시도와 노력의 뒷받침을 위해 예술산업을 이끄는 예술기업 활동 에 대한 이해와 예술기업의 활동을 통한 예술산업 형성의 근거를 마련하고 이것 이 예술정책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탐색할 필요가 있음
□ 연구목적
ㅇ예술정책연구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했던 예술기업의 활동과 특징을 분 석하여, 예술의 가치사슬구조 속에서 예술기업이 지닌 역할과 가치를 탐색함
ㅇ예술의 순수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예술기업이 경제적, 사회적으로 미치는 효용적 측면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초연구로서의 목적
ㅇ예술기업의 차별성을 탐색하고 추후 예술기업 정책지원의 방향 설정을 위한 제언을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