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정책자료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정책자료

2018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

발행일2019-08     발행처 서울문화재단 바로가기

2018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

01. 조사 개요 
 
Ⅰ. 조사 목적
Ⅱ. 조사 방법 및 범위
Ⅲ. 조사 항목
Ⅳ. 응답비율
    1. 일반시민
    2. 문화관심집단
Ⅴ. 2018년 조사 분석의 차별점(특성)
Ⅵ. 척도에 관한 설명
Ⅶ. 가중치
Ⅷ. 일반시민과 문화관심집단 비교분석 시 유의사항
 
02. 주요 키워드 분석
 
Ⅰ. 보도자료
 Ⅱ. 주요 키워드 분석
      Keyword 1. 세대역전? :
      50대 꽃중년의 문화바람, 20대 앞지르기 직전
      Keyword 2. 문화소비 :
      부부, 가족끼리··· 30대와 50대 남성 문화비 지출 가장 높아
      Keyword 3. 문화편식 :
      장르편중 현상 여전··· 문화활동 위해서는 한 번의 경험이 중요!
      Koyword 4. 문화로 소확행 :
      문화활동을 통해 느끼는 소확행도 세대별로 달라!
      Keyword 5. 생활권문화 :
      거주지 주변에서 문화활동, 일상 속 공간의 중요성 확인돼
 
03. 조사결과 분석
 
Ⅰ. 응답자 분석
Ⅱ. 조사결과 요약
    1. 일반시민 주요 항목 분석
    2. 문화관심집단과 일반시민 결과 비교
 
04. 지표별 상세 조사결과
 
Ⅰ. 문화/여가활동 실태
     1. 하루 평균 여가시간(시간)
     2. 여가시간의 충분성
     3. 주로 하는 여가활동
     4. 여가활동 동반자
     5. 가장 하고 싶은 여가활동
     6. 평소 문화예술 관심도
 
Ⅱ. 문화예술 관람 경험 및 만족도
     1. 문화예술관람 형태
     2. 과거 관람 경험 : 생애 기준 관람 경험률
     3. 문화예술 관람 의향(긍정응답 기준)
     4. 문화 프로그램 관람 의향
     5. 문화예술관람 동반자
     6. 문화예술 행사 주 관람 지역
     7. 문화예술관람 만족도
     8. 문화예술관람 불만족 이유
 
Ⅲ.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 및 만족도
     1. 문화예술활동(취미활동, 교육, 자원봉사) 참여 경험률
     2. 문화예술활동(취미활동, 교육, 자원봉사) 참여 형태
     3. 문화예술활동(취미활동, 교육, 자원봉사) 참여 빈도
     4. 문화예술 교육 경험률
     5. 최초 문화예술 교육
     6. 문화예술 교육 기간
     7. 문화예술 교육 만족도
     8. 문화예술 활동 참여 불만족 이유
 
Ⅳ. 일상생활 문화예술활동 경험 및 만족도
     1. 미디어 활용 문화예술 활동 경험
     2. 문화예술 공간 및 프로그램 이용 경험
     3. 버스/지하철 등 이동 공간 내 이용 콘텐츠
     4. 일상생활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
     5. 일상생활 문화예술 활동 불만족 이유
 
Ⅴ. 문화예술활동 경험과 인식
     1. (최근 1년) 문화예술활동 동기 및 전이
     2. (최근 1년) 문화예술활동 장애요인
     3. 문화예술활동 만족도
     4. 문화예술 중요도
     5. 문화활동 정서적 경험
     6. 좋아하는 음식
 
Ⅵ. 문화환경 만족도 및 행복지수 등
     1. 서울의 문화환경 만족도
     2. 거주 자치구 문화환경 만족도
     3. 삶의 만족도(행복정도)
 

서울문화재단, 문화정책, 문화향유,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