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문화정책이슈페이퍼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문화정책이슈페이퍼

[이슈] 작은 것들을 위한 시

발행일2023-03 발행처 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첨부파일

 

작은 것들을 위한 시

최 동 민
에코액션 포레스트 대표

 

“예전에는 그래도 동네가 시끌시끌했지요."
 2018년 부산 원도심의 작은 초등학교 하나가 문을 닫자 마을은 급격하게 활력을 잃었다. 교문 맞은편 셔터문이 반쯤 닫힌 자신의 가게에 걸터앉아 말하던 권오영 아저씨의 표정에는 아쉬움이 가득 묻어있었다. 2년 전 문 닫힌 그 초등학교에서 기후와 관계, 공동체 위기 극복 문제를 예술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공간 문화 예술교육 프로젝트가 실험되었다. 아직 문화 예술교육을 위한 전용 공간이 없는 부산에서 다양한 형태의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전용공간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시작된 프로젝트였다. 
 부산의 10여 명의 예술가들과 함께 6개월의 준비과정과 한 달간 700여 명의 어린이, 시민들의 프로그램 참여를 끝으로 다시 문을 닫게 되었을 때 “한동안 사람들이 오고 가니 참 좋던데, 또 이래 잘 만들어놓고 없앤다 하니 참 많이 섭섭하네요.”라고 말하던 권오영 아저씨는 그 학교 졸업생이기도 했다.
 ‘경제유발효과 61조 원, 고용 창출 효과 50만 명, 세계박람회/올림픽/월드컵 3대 메가 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세계 7번째 국가’ 입이 떡 벌어지는 숫자와 문구들이 2030 부산 엑스포의 예상 효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메가 이벤트의 성공적인 부산 개최가 현실이 된다면 그 효과와 함께 한 사람의 부산 시민으로도 무척 자랑스러울 것이다. 
 그러나 나에겐 ‘자연과 지속 가능한 삶’이라는 슬로건 중 하나가 눈에 띄었고, 스멀스멀 왠지 모를 작은 불안감이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우리 속담에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라는 말처럼 이런 큰 이벤트가 들고나간 자리에서 지속가능한 삶이란 무엇일까? 무엇이 가능케 하는 것일까?라는 물음표도 생겨났다. 이렇게 작은 학교, 작은 공간 하나가 들고 나가도 마을 주민들에게는 크게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불안감

다큐멘터리 <상계동 월드컵>을 떠올렸다. 88서울 올림픽 개최를 앞둔 1986년. 한국을 찾는 외국인에게 부끄럽다는 이유로 달동네 철거와 강제이주를 당한 철거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그때 88올림픽의 슬로건은 화합과 전진이었다. 많은 국민들을 붉은 옷과 함께 거리로 뛰쳐나오게 만든 2002 월드컵 때는 일회성 대규모 문화행사만이 조명받았고, 수많은 소극장의 조명은 꺼졌다. ‘제발 월드컵이 끝났으면 좋겠다’라는 한탄과 함께 작은 공연과 축제는 모두 Be the Reds! 모두 하나가 되는듯했던 월드컵에 자리를 내어주고 밀려나야만 했다. 과거와 비교해 지금의 우리는 어떨까? 엑스포 기간에 각종 공연이 열릴 오페라하우스는 수천억의 예산이 들어가고도 그 시작부터 지금까지도 시끌시끌하기만 한데, 부산 영화 생태계의 다양성 지켜줄 중소형 영화제의 예산은 3분의 1로 줄어들었다. 70억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과 여러 이슈 속에 마쳐진 BTS의 유치 기원 대형 콘서트 뒷면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뛰고 있던 부산 인디음악의 현실은 여전히 녹록치 않다. 화려한 오페라하우스와 대형 영화제만으로 부산의 문화가 풍요로워질 수 없다. BTS와 이정재가 가장 빠르게 전 세계에 우리를, 부산을, 부산 엑스포를 알릴 수는 있지만, 그것이 우리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보장할 수 있을까?

 

그리고 물음표
부산에서 태어나 40여 년 넘게 이곳에서 살고 있지만, 이렇게 떠들썩한 2030 엑스포에 대한 내용도 이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야 제대로 알게 되었다. 부산 사람이 어째 그럴 수 있냐? 유치되면 너도 좋은 거아니냐? 그렇게 물을 수도 있겠지만 모두가 엑스포만을 바라보고 살 필요가 있을까?
 각자의 자리에서 하고 있는 작은 일들이 존중받고 그 작은 의미들이 하나하나 모여질 때 함께 오래도록 행복해지는 것이다. 그것이 지속 가능한 삶이 아닐까?
필자는 최근 10여 년 동안 기후환경과 관련된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는데 처음엔 환경에 대한 예술가들의 걱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가 차츰 기후변화에 관하여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는 것들을 이야기하게 되었고, 이제는 우리 사회의 단절된 관계들을 정상적으로 다시 연결하는 것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다시 2년 전으로 돌아가 그 폐교에서 열린 프로그램 중 하나를 소개하겠다. 이 작품은 1901~2020년까지 우리나라의 기온 변화를 나타낸 Warming Stripes(By Ed Hawkins)를 모티브로 급격하게 빨라지는 기후변화를 좁아지는 터널로 표현하고, 가파른 평균대를 건너며 온몸으로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는 참여형 설치작품이었다.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풍족해졌지만, 그 이면에 기후 위기라는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위기를 낳았다. 위기는 있는 자보다 약한 자에게 더욱 잔인하기 마련이다. 기후 위기의 평균대를 위태롭게 건너던 어린이들, 힘겹게 건너다 포기하고 돌아가던 할머니들을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난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느리지만 문제를 제대로 마주할 수 있는 용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감, 함께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나누고자 했다. 이런 것들은 단 한 번의 행사, 대규모의 예산, 유명한 그 누군가의 힘만으로 만들어질 수 없다. 지역의 여러 예술가들, 활동가들, 주민들 그들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문화예술의 힘은 그런 것이라 믿고 있다.
 2015년 UN 총회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SDGs를 의결했다. 이는 2030년까지 전 세계가 함께 달성해야 할 17개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를 제시하고 있고 그 슬로건은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이다.  ‘널 알게 된 이후 ya 내 삶은 온통 너 ya 사소한 게 사소하지 않게 만들어버린 너라는 별’이라는 BTS의 노랫말처럼  그 소외되지 않은 한 사람 한 사람이 함께하고 존중받는 우리 사회라면 성공적인 ‘2030 부산 엑스포’로 우리 모두의 마음에 자리할 것이다. 그리고 기후위기의 평균대를 기우뚱 걷던 이서진 어린이도 삶의 평균대에서는 휘청거리지 않고 잘 건너갈 수 있을 것이다.

 

 

                                                                                                   

1900년대 푸른색으로 표현되던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이
2020년에 가까워 질수록 짙은 붉은색이 중첩되어 표현되고 있다.
구태경, 황경호 협업작품 | 사진 : 최동민 / 이서진 동양초등학교 3학년

 

문화예술교육프로젝트, 2030부산엑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