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아카이브

HOME 정책아카이브 문화정책이슈페이퍼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문화정책이슈페이퍼

[문화+아카이빙] 부울경 아키비스트(Archivist)양성과 지역공동체 아카이브

발행일2022-08 발행처 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첨부파일

부울경 아키비스트(Archivist)양성과 지역공동체 아카이브

 

박희진 (사진가, 동주대학교 교수)

 

부울경 지역 문화예술에 있어서 기록을 바탕으로 한 교류와 지역콘텐츠 생산 등을 아카이빙(archiving)이란 관점에서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아카이브 작업은 문화예술의 특성을 보존 유지하면서 현재와 미래에 활용할 수 있는 자산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소장품이나 의미 있는 자료들을 모으고 디지털화하여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작업을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쯤 시작되었다. 다시 말해 아카이빙이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디지털 환경이 구축되면서 거대한 정보화 물결이 일기 시작하였고 1999년 공공기록물법(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부터 아카이브 정책에 집중하였고 정부기록물보존소도 국가기록원으로 승격되었다. 큰 틀에서 문화예술의 아카이빙에 대한 실천을 살펴 보면, 문화재청에서 문화재의 정보화사업을 통해 문화재 전반에 걸쳐 조사 연구된 생산 기록물들을 DB화 하였으며 201612월 국립국악원에서 개최한 디지털시대, 공연예술 아카이브의 역할과 가치창조라는 학술세미나를 통해 유,무형 문화예술의 아카이브 작업의 특이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문화예술의 범주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실생활의 아카이브 작업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면, 1997년 한국토지공사는 100만평 이상의 대규모 개발사업 대상 지역에 대해서 사라지는 주민들의 삶과 자취에 대한 아카이브 작업을 필수로 진행하였다. 한국토지공사의 아카이브 작업 첫 결과물로 2006년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마을의 사이버 고향전시관을 구축하였으며 2008년에는 대구의 혁신도시 프로젝트로 사라지는 마을에 대한 대구혁신도시 사이버 고향전시관을 그리고 2009년에는 인천 영종도의 영종하늘도시 사이버 고향전시관등등 전국에 걸쳐 9개의 혁신도시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무형유산에 대한 아카이브 작업은 2012년 국립무형유산원이 설립과 함께 시청각 자료와 문서 작품등이 디지털로 전환되어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무형유산 전승자 구술채록사업도 진행하면서 생활도구와 사진자료 등에 관한 생활공간도 기록하고 있다.

 

지역활동가로 아키비스트(Archivist) 양성해야

부울경 문화예술의 아카이브 작업은 개인이나 단체가 활동하면서 창작해온 1차적인 자료들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작고한 예술가나 각종 공연 전시 등의 기록물들이 각기 다른 기관과 분야에서 보관하는 것 보다 광역화된 틀 속에서 공유 가능한 아카이브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아카이브들의 문화예술적, 역사적 가치에 대한 정리와 분류들은 도서관이나 출판물 등이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넘어선 지역 문화예술의 고유성을 내포하고 있다. , 부울경 문화예술 아카이브 작업은 기록된 자료의 평가와 수집 그리고 진본 확인, 보존 검색 제공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기록학(Archival science)의 기본 지식을 갖춘 기록관리자를 양성하고, 다음 단계로 문화예술에 특화된 역량을 강화하여 부울경 문화예술의 아카이브 작업을 담당할 아키비스트(Archivist)를 양성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부울경 아키비스트들은 지역문화예술의 역사적 기록을 선별하고 보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적절한 분류와 정리를 통해 또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후학 그리고 문화예술의 계승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아카이브 작업과 아키비스트들의 할동은 문화예술의 특성을 보존하는 것은 물론이고 창조와 변화의 지평을 열어주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공공기록물법은 2006년에 기록물관리와 기능적 분류 방법, 번호 보존기간과 장소 및 비치기록의 기준과 검색어 지정 등을 현재의 실정에 맞는 분류 기준표로 개정하였다. 이러한 보다 확장된 시각에서 부울경 문화예술의 아카이브 작업은 국가 분류기준표의 규정을 준수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아카이브 규정과 제도를 동일하게 규격화하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부울경의 아키비스트들이 활동한 결과물로 생산된 아카이브를 평가심의회 등의 절차를 거쳐 심의하여 등록 관리할 것인지 아니면 이관이나 폐기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후 분류, 편철 과정을 거쳐 검색과 활용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아카이브 작업의 제도화된 공정도 필요하다.

 

기록공동체(Archives Network)로 지역 문화예술 정체성 확보

부울경이 연계한 기록공동체(Archives Network)로서 문화예술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울경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지역 도큐멘테이션(Locality Documentation)의 장/단기 전략을 설정하고 실천해야만 한다. 우선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 대상에 대한 일차적인 자료 수집이 진행되어야 하고 두 번째로는 수집된 자료를 디지털방식으로 아카이빙하고 마지막으로 다양하고 폭넓게 아카이브를 활용할 수 있는 접근성을 확보해야 하는 마무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부울경 아카이브 공동체 협력을 통해 지역의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정체성에 관심을 가지게 하며 부울경의 지역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소속감 강화와 보다 넓은 외부세계로 지역 문화예술을 알리는 확장성을 통해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게 한다.

 

단순한 부울경 문화예술이라는 아카이브 작업에서 발전하여, 지역 네트워크와 협력하고 연대하는 통로를 확보함으로 인해 공동체 아카이브 작업이라는 광역화된 아카이빙을 실천할 수 있고, 부울경 지역 다수의 양성된 아키비스트들이 찾고 만들어낸 결과물에 의한 문화자본(cultural capital) 축적으로 문화예술의 자본 생산성도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후속 조치로 아카이브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문서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의 파일형식과 자료형식의 표준화 등 기본적이 사항이 마련된 상태에서 아카이브 작업을 진행하여야 인력과 행정력 그리고 비용까지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때 아카이브 작업에 있어서 자료의 기증자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증자에 대한 예우 기준이 있어야 금전적 가치에 대한 논란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부울경 공동체 아카이브 작업의 문화예술 결과물로 저장된 집단적(collective memory) 기억과 사회적 기억(social memory)들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표현하게 된다. 아울러 세대를 이어주는 의사소통의 도구가 되고 활용 가능한 자산과 부가적으로 문화예술 생산이 가능한 자원 그리고 지역공동체 문화예술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가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메타데이터의 자유로운 활용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부울경 문화예술 아카이브 작업의 형식 표준화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면 모든 시민들이 아카이브 활동가(activist archivist)되고 지역 공동체와 함께 아카이브 네트워크 형성을 거쳐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기 가꾸어 나가는 보편적 기록 공동체에 의한 아카이브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역 정체성확립과 문화예술의 계승 발전을 위해 민관이 함께 참가하는 상설 협의체로서 부울경 기록공동체(Archives Network)’의 결성과 정기적인 진행 성과를 관리하는 실무적인 운영이 절실한 시점이라 하겠다.

문화정책, 이슈페이퍼, 이슈, 부울경, 예술교류, 교류, 지역교류